[프롬프트북 #4] 사용자 공지문 자동 생성 프롬프트

보안 사고가 발생하면 시스템 복구도 중요하지만, 사용자에게 “지금 어떤 일이 있었는지” 설명하는 일도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실무 현장에선 공지문을 누가 써야 할지 정해지지 않았거나, 기술 부서는 기술에 집중하느라 소통문 초안 작성은 매번 미뤄지기 일쑤다. 그 사이 사용자는 불안해지고, CS팀에는 “이게 뭔 일이냐”는 문의가 쏟아진다.

 

이 프롬프트는 바로 그런 상황에서 GPT에게 아래와 같은 한 문장을 쓰기에 좋다. 

"사용자에게 보낼 사고 알림 공지문을 작성해줘."

 

이렇게만 말하면 비기술자도 이해할 수 있는 톤, 책임회피 없이 신뢰를 줄 수 있는 구조, 너무 겁먹지 않게 설명하는 어휘로 된 공지문이 자동 생성된다. 하지만 추가적으로 필요한 옵션등이 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서술해보려고 한다.

 

 


 

 

프롬프트 본문

당신은 보안 사고 발생 시 사용자 대상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는 커뮤니케이션 매니저입니다.  
아래 사고 개요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보낼 안내문을 작성해 주세요.

공지문은 다음 요소를 포함해야 합니다:  
- 사고 발생 시점  
- 원인 요약  
- 현재까지의 영향  
- 대응 현황  
- 사용자 안내 사항  
- 중립적이고 신뢰를 주는 어조  
- 불필요한 공포 유발 표현은 지양

 

 

 


 

 

예시 1. 웹 포털 SQL Injection 탐지에 따른 사용자 안내 공지문

입력 예시

더보기
더보기

사고 시점: 2024년 3월 30일 오전 10시경  
원인: SQL Injection 공격으로 웹 포털 로그인 페이지 이상 트래픽 유입  
영향: 고객 계정 중 일부 비정상 로그인 시도 확인  
대응: WAF 차단 완료, 고객 정보 유출 없음 확인, 로그인 세션 초기화 중

 

 

 

출력 예시

더보기
더보기

안녕하세요,

2024년 3월 30일 오전 10시경, 당사 웹사이트 로그인 페이지에서 외부의 비정상적인 접근 시도가 탐지되었습니다.

해당 시도는 SQL Injection 기법을 활용한 공격으로 파악되었으며, 현재까지 고객 정보 유출이나 계정 침해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사전 예방 차원에서 일부 로그인 세션은 자동 초기화되었으며, 추가 보안 조치와 시스템 점검을 즉시 완료하였습니다.

보다 안전한 환경 제공을 위해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개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예시 2. 랜섬웨어 감염 후 사용자 대상 알림 메일

 

입력 예시

더보기
더보기

사고 시점: 2024년 4월 1일 오전 7시  
원인: 랜섬웨어 감염으로 인해 일부 내부 시스템이 일시적으로 암호화됨  
영향: 고객 주문/배송 관련 조회 시스템 일시 중단  
조치: 주요 시스템 복구 완료, 고객 DB는 별도 백업으로 안전 확보

 

출력 예시

더보기
더보기

안녕하세요,
2024년 4월 1일 오전 7시경, 당사 일부 내부 시스템에서 랜섬웨어 공격이 탐지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고객 주문 및 배송 정보 조회 시스템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습니다.

현재 시스템 복구는 완료되었으며, 고객 데이터는 별도 보관된 백업을 통해 안전하게 보호되었습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하며,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안 강화 조치를 완료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예시 3. 이메일 계정 유출 사고 발생 시 고객 대상 긴급 알림

입력 예시

더보기
더보기

사고 시점: 2024년 4월 3일 오후 2시  
원인: 제3자 접근에 의한 이메일 계정 정보 일부 노출  
영향: 일부 사용자 이메일 주소 및 로그인 시도 기록 노출 가능성  
조치: 로그인 세션 초기화, 전체 비밀번호 리셋 요청 발송, 2FA 설정 권장

 

출력 예시

더보기
더보기

안녕하세요,
4월 3일 오후 2시경, 당사 일부 이메일 계정 관련 정보에서 비정상적인 접근 시도가 탐지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일부 고객의 이메일 주소와 로그인 시도 기록이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어 예방 차원에서 전체 비밀번호 변경을 요청드리며,
2단계 인증(2FA) 설정을 권장드립니다. 현재까지 구체적인 정보 유출 정황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보다 강화된 보안 체계로 문제를 재발 방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예시 4. 서비스 장애 안내 (기술 이슈로 인한)

 

입력 예시

더보기
더보기

사고 시점: 2024년 4월 2일 오후 6시  
원인: 내부 시스템 배포 중 오류 발생  
영향: 로그인 및 결제 기능 30분간 장애 발생  
조치: 긴급 롤백 완료, 전체 서비스 정상화됨

 

 

출력 예시

더보기
더보기

안녕하세요,
4월 2일 오후 6시경, 내부 시스템 업데이트 과정에서 일부 서비스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그 결과 로그인 및 결제 기능이 약 30분간 원활하지 않았습니다. 현재는 긴급 복구 조치를 통해 모든 기능이 정상화된 상태이며,
관련 시스템에 대한 추가 점검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이용에 불편을 드린 점 깊이 사과드리며,
더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실무 활용 팁

 

  • B2C 스타트업 커뮤니케이션용으로 원한다면 "공식 블로그 공지문 톤"으로 요청
  • "고객센터 대응용 요약"을 덧붙여 CS 매뉴얼용으로 활용
  • "이메일 발송용 제목도 같이"라는 옵션을 넣어 HTML 템플릿으로 활용하자
  • "법률 리스크 줄이는 표현 포함"을 넣어 준법감시팀 협업에 대응하기
  • "영문 고객 공지 버전"으로 해외 사용자 대응할 수 있다!

 

 

 

+) COMMENT : 공지문은 대부분 “누가 써야 하는지”도 안 정해져 있다. 사고 대응 중에는 기술팀이 바쁘고, CS팀은 내용이 부족하며,
커뮤니케이션팀은 매번 처음부터 문구를 고민한다. 그 사이 사용자 문의는 쌓이고, 내부 대응은 점점 늦어진다. 이 프롬프트는 그런 현실적인 커뮤니케이션 공백을 줄이기 위한 도구다.

 

기술팀이 로그 분석에 집중하면서도, 커뮤니케이션팀은 GPT로 메시지 초안을 빠르게 뽑아 수정만 거쳐서 바로 배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중소팀이나 스타트업은 CS 리소스가 부족해서 공지문을 누가 쓰냐부터 매번 싸움 나듯 정한다. 이런 조직일수록, “프롬프트 하나로 바로 초안 나오는 구조”를 세팅해두면 사고 대응 속도가 진짜 체감될 만큼 빨라진다. 결국 사고 대응은 기술적 차단 + 커뮤니케이션 전달이 동시에 돼야 한다. 그 사이를 메워주는 프롬프트를 잘 사용하는게 필요해보인다.

 

 

 

[프롬프트북 #3] IOC 침해지표 자동 정리 프롬프트



보안 사고 후 리포트를 작성할 때, 가장 머리 아픈 작업 중 하나는 바로 IOC(침해지표) 정리다. 이상행위가 발생한 로그를 분석하고
그 안에서 수상한 IP, 도메인, URL, 해시 값을 일일이 추려내 보고서에 표로 정리하거나 부록으로 첨부한다.
근데 이게, 귀찮고, 반복적이고, 실수도 잘 난다. 특히 예전에는 사고 건수가 많거나 로그 볼륨이 클수록 "알아서 자동화됐으면…"이라는 생각이 자주 들었다...

 

GPT에게 로그 데이터를 통째로 던지고, “IOC 항목별로 정리해줘” 한 마디만 하면 표 형태로 분류된 결과가 바로 출력된다.
심지어 표를 Markdown이나 CSV로 뽑을 수도 있고, GeoIP 정보나 TTP 힌트까지 덧붙이도록 확장할 수도 있다. 이건 단순히 "자동화했다"는 의미가 아니라, “보안 실무자의 반복 노동을 줄이면서, 정리 수준은 올리는 방식”이다. 그래서 실무자일수록 꼭 알아야 할 GPT 프롬프트라고 생각한다.

 

 

 

[프롬프트 본문]

다음은 사고 대응 과정에서 수집된 로그입니다.  
해당 로그에서 침해지표(IOC)를 추출하고  
[IP], [도메인], [파일 해시], [URL] 형식으로 분류하여 표 형태로 정리해 주세요.

 

 

[입력 예시]

Suspicious IP: 45.77.32.156  
URL Accessed: http://malicious-domain.com/login.php  
SHA256 Hash: 3f8d5e2a33a8894d1e98e5a632cb7c26f81a52b6d9c5a2356a9ff3c99b9e8f20  
Domain Contacted: malicious-domain.com

 

 

[출력 예시]

유형
IP 45.77.32.156
도메인 malicious-domain.com
해시 3f8d5e2a33a88...
URL http://malicious-domain.com/login.php

 

 

 

[추가 활용 팁]

- 보고서 부록에 삽입하기 위해서 "CSV로 정리해줘"라고 말해보자

- 노션, 위키 문서 삽입에 용이하기 위해서 "Markdown 표로 출력"을 사용해본다

- IOC 기반 탐지 범위를 판단하기 위해 "GeoIP 정보 포함" 옵션을 써본다.

- 인텔리전스 보고서 수준으로 확장시키기 위해 "IOC마다 설명을 달아줘"라고 요청해본다.

 


 

 

+ Comment : 보안 실무는 '탐지보다 정리'가 더 피곤한 순간이 많다.

IOC 추출은 반복 작업이지만, 보고서 품질을 좌우한다. 그런데 사람이 하면 빠뜨리는 게 생기고, 시스템으로 돌리자니 컨텍스트 없는 결과가 튀어나온다. 이 프롬프트는 GPT를 단순한 자동화 도구가 아닌 “보안 문서의 보조 저자”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프롬프트북 #2] 내부 보고용 간단 사고 정리 프롬프트

 



보안 사고가 터졌을 때 가장 먼저 날아오는 질문은 이런 거다.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난 거야?”
“고객 정보는 유출된 거야, 아니야?”
“이거 뉴스 나가는 건 아니지?”

 

신입때 보안 사고가 터지면 심장부터 부여잡았던 적이 많았을 것이다.... 로그 보랴, 시스템 차단하랴, 원인 분석하랴 정신이 없다. 그러다 보면 경영진에게 올라가는 보고는 지연되거나, 너무 기술적이거나, 제대로 전달조차 못 되는 경우도 흔하다. 이럴 때 필요한 게 바로 GPT 기반 “경영진용 사고 요약 프롬프트”이다. 


이 프롬프트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 최적화 되어있다:

  • 경영진/이사회 보고서 초안이 급할 때
  • 보안 팀장이 슬랙/카톡으로 “핵심만 알려줘” 할 때
  • 커뮤니케이션팀에서 “직원 공지문용 문구” 요청할 때

기술 디테일은 줄이고, 핵심은 담고, 톤은 중립적으로 조정한 요약 보고서를 GPT한테 바로 생성시키는 구조이다! GPT에게 적절한 입력값과 몇 가지 옵션만 설정하면, 실무자는 “내용은 정확하고, 말투는 깔끔하고, 전달은 빠른” 3박자를 맞춘 요약문을 뽑아낼 수 있다.

 

 

 

[프롬프트 본문]

보안 사고 발생 시,  
경영진 또는 비기술 부서를 위한 간단한 요약문을 작성해 주세요.  
[발생 시점], [원인], [영향], [현재 대응상황]을 포함하고  
중립적인 톤으로 작성해 주세요.

 

 

[입력 예시]

사고 시점: 2024년 3월 30일 오전 10시  
공격 유형: SQL Injection  
대상 시스템: 웹 포털 로그인  
영향: 비정상 로그인, DB 접근 시도  
조치: WAF 차단, 내부 점검 중

 

 

[출력 예시]

3월 30일 오전 10시경, 사내 웹 포털 로그인 페이지에서 외부의 비정상적인 접속 시도가 탐지되었습니다.  
공격자는 데이터베이스 접근을 시도했으며, 현재까지 고객 데이터 유출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침입은 차단되었으며, 현재 대응팀이 관련 로그를 바탕으로 시스템 점검 중입니다.

 

 

[추가 활용 팁]

- "간단한 톤으로"라는 옵션을 넣어 메일이나 카톡 공지문에도 한번에 전달을 해보자

- 더 격식있는 보고가 필요한 상황이라면 "이사회 보고용"으로 옵션을 넣어 출력해보자

- 슬랙이나 데일리, 주간 미팅에서 요약하기 위해서 "3문장 이내"라는 조건을 달아서 깔끔하고 결과만 명료하게 추출해보자

- "영문 요약" 옵션은 여기에도! 특히 외국계이거나 다국적 팀 또는 협력사와 함께 일을 한다면 공지용으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 Comment : 갑작스러운 보안 사고가 났을 때, 기술적 대응보다 더 중요한 게 있다. 바로, 누구에게 어떤 방식으로 커뮤니케이션할 것인가라고 생각을 한다. 아무리 로그를 잘 분석하고 시스템을 막아도, 경영진이나 타 부서가 “지금 무슨 상황인지” 이해하지 못하면 심각하고 규모가 클수록 대응은 흐트러지고, 신뢰는 떨어지고, 결정은 늦어진다. 실무자가 해야 할 일은 단순히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사람이 필요한 만큼만 이해하게 해주는 것이다. 그래서 이 프롬프트는 단순 요약이 아니라 보안 사고의 핵심을 비기술자에게 설명하는 기술을 담고 있다.

 

 

 

 

[프롬프트북 #1] 로그 기반 사고 요약 리포트 프롬프트


보안 사고 리포트 작성할 때 로그는 많은데, 정리할 시간도 없고, 담당자마다 요약 방식이 달라 골치 아픈 경우가 많다.

이번 프롬프트는 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공격 유형, 영향 범위, 대응 조치까지 자동 정리해주는 구조다.
보안 실무에서 "빠르고 명확한 보고"가 필요한 순간에 쓸 수 있다. Chat GPT를 사용하여 다양한 옵션과 프롬프트 명령을 통해 보고서에 바로 사용 가능한 로그 기반 사고 요약 리포트를 만들어보자!

 

 

 

[프롬프트 본문]

당신은 보안 사고 대응 전문가입니다.  
아래에 제공된 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1] 공격 유형  
[2] 영향받은 시스템 범위  
[3] 권고 조치  
를 항목별로 요약해 주세요.

 

 

[입력 예시]

[2024-03-30 10:21:33] 192.168.1.101 - "GET /index.php?id=1' OR '1'='1 HTTP/1.1" 200  
[2024-03-30 10:22:10] 192.168.1.101 - "POST /login.php HTTP/1.1"  
Payload: {"username":"admin'--", "password":"1234"}  
[2024-03-30 10:23:01] WAF Alert: SQL Injection detected from 192.168.1.101

 

 

[출력 예시]

- 공격 유형: SQL Injection  
- 영향 범위: 웹 포털 로그인 페이지  
- 권고 조치:  
  • WAF 룰 세분화 및 조건 필터 강화  
  • DB 쿼리 입력값 필터링 (Prepared Statement 적용)  
  • 관리자 계정 접근 로그 모니터링 강화

 

 

[추가 활용 팁]

- "중립적 보고서 톤"이라는 옵션을 추가하여 경영진용 보고서로 만들어 보자 (개발자 -> 팀장 -> 경영진 공유 시 각 톤에 맞춰서 재생성이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 해외 협력사 또는 다국적 팀과 대응을 해야할 일이 있는 경우에는 "영문 리포트 버전"을 요청해서 고퀄리티로 뽑아보자!

- "표 형식으로 출력"하거나 "문단 요약"을 통해서 곧바로 보고서나 슬라이드에 삽입할 수 있다.

- 혹시라도 노션이나 문서에 붙여넣고 싶다면 "Markdown"이나 "CSV"양식으로 요청을 한다.

 

 

 

 


 

 

+ Comment : GPT는 보고서를 대신 써주는 도구가 아니다. 기술력을 가진 사람이 조금 더 뒷받침하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하기 위해서 다루는 툴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팀 전체의 보고 및 정리 속도"를 올려주는 무기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추가 활용할 수 있는 옵션을 사용하여 로그 기반 사고에서 공격 유형이나 권고 조치를 다양한 컨셉으로 설정하여 효율적으로 정리해보도록 하자.

 

 

+ Recent posts